또한 우리나라 사립대학교 1개교 평균 운영손익은 국·공립, 사립 모두 감소추세를 보였으며, 비수도권 대학의 운영수지 적자가 더 지속적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.
另外,每一所韓國私立大學平均運營損益在國立、公立、私立均呈減少趨勢,非首都圈大學的運營收支赤字更加持續和巨大。
2021년 사립대학 1개교 평균 운영수지 적자 규모는 비수도권 15억 4000만 원, 수도권 2억 4000만 원이었고, 운영수지 적자를 나타낸 대학 비중은 2011년 대비 2021년 수도권 47.7%포인트, 비수도권 48.0%포인트 증가했다.
2021年,一所私立大學的平均運營收支逆差規模為非首都圈15.4億韓元、首都圈2.4億韓元,出現運營收支逆差的大學比重與2011年相比,2021年首都圈47.7個百分點、非首都圈48.0個百分點。
대교협 관계자는 「장기간의 대학등록금 인하·동결에 따른 사립대학의 열악한 재정 여건 개선을 위한 대학 수익 다각화 및 정부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」며 「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투자가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, 우리나라의 고등교육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대학 재정 확충뿐만 아니라, 대학의 재정자립 능력향상과 이를 위한 자율성 확대가 필요하다」고 강조했다.
韓國大學教育協議會相關人士表示:「為了改善長期大學學費下調、凍結導致的私立大學惡劣的財政條件,急需制定大學收益多元化及政府層面的支援對策」、「全世界為提高高等教育質量的投資呈增加趨勢,為了提高韓國的高等教育競爭力,不僅需要擴充大學財政,還需要提高大學的財政自立能力和為此擴大自律性。」